callback 함수.
파라미터로 결과를 전달할 수 있을 때 전달하는 함수를 콜백함수라고 한다.
비동기 프로그래밍 만드는데 쓴다고 한다.
function add(a, b, callback){
var aa = a + b;
callback(aa);
}
add(1,2,function(aa){
console.log('%d',aa);
});
a와 b를 aa에 콜백, 1,2를 각각 a,b에 대입하여 둘을 더한 값을 aa에 담아 출력하는 함수.
이런 식으로 비동기프로그램을 작성하면 두드러지는 문제점이 있는데, 흔히들 '콜백지옥'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콜백 지옥은 간단히 말해 콜백이 연속으로 작성되어 콜백 뒤에 콜백이 계속해서 붙는 것인데, 코드도 복잡해지고 읽기도 힘들어서 콜백 함수를 처음 써보는 사람은 예제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한다. 나처럼.
해결법으로는 promise를 써서 중간에 콜백을 끊어주는 것이라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