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dy>
<script>
</script>
</body>
이걸 먼저 써줘야 한다.
===================변수선언===================
var로 선언한다.
var i;
var n = 0;
var i = 0; n = 0;
let,const으로 선언한다.
let은 바뀌는 값.
const는 바뀌지 않는 값을 저장한다.
let m = "screwbar";
m = "adjustablespanner";
===================비교===================
console.log()를 써줘야 한다.
==는 값을 비교해 같으면 진실, 같지 않으면 거짓을 출력한다.
===는 값의 데이터까지 비교해서 같으면 진실, 같지 않으면 거짓을 출력한다.
===================조건문===================
거짓으로 인식되는 애들 : false, undefined, null, 0, NaN, the empty string ("")
c언어의 if문을 쓰면 된다.
===================알리다, 모니터, 확인하다===================
alert는 경고나 중요한 사실 전달용.
prompt : 숫자열을 문자열로 바꿔준다.
confirm은 부레안 값을 입력받고 거짓, 진실 값을 준다.
===================문서 객체===================
HTML에 접근하려면 필수적으로 거쳐야한다.
[리스너]
DOM을 먼저 사용해야 한다.
scroll : 스크롤 조작.
ketdown : 자판 누르기.
keyup : 자판 때기.
keypress : 눌러서 문자 입력.
click : 클릭.
dclick : 클릭 후 때는 거.
mousemove : 마우스를 움직이는 거.
[메서드]
document.getElementsBy여기붙는 말에 따라 기능이 달라진다.
TagName : 해당 태그를 모두 선택한다.
Id : 해당 아이디를 모두 선택한다.
ClassName : 해당 클래스를 모두 선택한다.
Name : 해당 이름을 모두 선택한다.
document.createElement : HTML을 생성한다.
document.write : 글을 출력한다.
그 외에 사용 명령어는
http://www.tcpschool.com/javascript/js_dom_document
너무 길어요.
===================조종장치 객체===================
console은 브라우저의 디버깅에 접근할 수 있게 해줌.
기타 사용 명령어는
https://developer.mozilla.org/ko/docs/Web/API/console
너무 길어요.